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mongod
- springboot
- Xcode
- npm update
- Media-type
- 27017
- freetier
- GCP
- Android
- initandlisten
- ubuntu java
- 몽고디비
- remote
- 가상머신
- openjdk
- MAC
- github
- MongoDB
- instance
- Spring
- navercloud
- cloud
- ubuntu
- 27inch
- errorstack
- java
- VM
- playgrounds
- for developer
- naver
- Today
- Total
목록navercloud (3)
김컴공랩

헬로월드! 김컴공입니다. 이번 포스팅부터는 스프링과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데이터베이스는 NoSQL 인 몽고디비를 사용할 것입니다. 오늘 포스팅에서는 몽고디비를 운용하기에 앞서 먼저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명령어를 익혀보고 권한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몽고디비 설치 먼저 서버를 배포할 가상머신에 접속합니다. (클라우드 컴퓨터 및 가상머신 접속은 kimce.tistory.com/category/Cloud 에서 확인하세요.) 가상머신에 몽고디비 서버를 설치합니다. 아래 명령어는 우분투 운영체제에서의 몽고디비 설치 명령어입니다. $ apt-get install mongodb 저 같은 경우 설치하는데 3~5분 정도 소요했습니다.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몽고디비에 접속합니다. $..

헬로월드! 김컴공입니다.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 3번째 포스팅으로, vscode 로 가상머신에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전 포스팅에서 서버 접속을 위해 ip 와 port 를 설정했기 때문에, Putty 나 터미널 등으로도 손쉽게 접속할 수 있는데요. vscode 의 Remote-SSH 로도 접속해보겠습니다. 우선 vscode 의 설치 및 Remote-SSH install 은 이전 포스팅(kimce.tistory.com/16) 을 참조하세요. SSH 접속을 위해 좌측 하단 Remote-SSH 아이콘을 클릭 후, Configuration File 을 변경하기 위해 표시된 메뉴를 클릭합니다. SSH 접속을 위해, 위와 같이 정보를 입력합니다. 이전 포스팅(kimce.tistory.com/21)에서 알아낸 서..

헬로월드! 김컴공입니다. 이번 포스팅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활용 2번째로, 생성한 가상머신에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GCP 나 AWS 와 방식은 비슷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. 우선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 (console.ncloud.com/server/) 에 접속합니다. 네이버 클라우드 가상머신의 경우 서버 접속용 공인 IP가 따로 있고, 또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트 포워딩을 진행해야 합니다. 서버 탭으로 가서 생성한 인스턴스를 체크한 후에, "포트 포워딩 설정" 을 클릭합니다. 외부 포트 번호를 1,024~ 65,534 사이의 임의 번호로 설정해서 입력한 후, 적용 시킵니다. 그리고 왼쪽 메뉴에서 Server - ACG 를 클릭하고, 해당 가상머신에 적용했던 ACG 를 체크..